″``°☆시들의모음/◈가슴의― 詩

**[맛있는 시]강미정-온몸이꽃**

바다와바람 2014. 5. 12. 14:20
 

                     
                         Just Show Me How to Love You - Sarah Brightman

 

 

                         온몸이꽃

                                                                          -강미정-


                          지금보다 더 행복한 시절에
                          무릎을 끓고 기도하는 사람의 옆을 지나갔네
                          발소리를 낮추며 조심조심 걸었던
                          따뜻한 햇빛 한 장 속이었네
                          막 피어난 꽃들이 봄볕을 쪽쪽 빨아당기고 있었네

 
                          입술이 꺼칠꺼칠 마르고 온몸 붉게 타오르는 봄날이었네
                          지금보다 더 행복한 시절에 무릎을 꿇고 있던 그 사람은
                          나에게 꽃도 나무도 몸 아픈 봄을 가르쳐준 사람이네
                          내 손을 잡고 착한 봄은 엄마냄새를 잘 찾는단다


                          볼을 부비며 소리 없이 울었던 그 사람이네
                          지금보다 더 행복한 시절에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의 옆을 지나갔네
                          온몸이 아픈 꽃으로 피어나고 있었네
                          따뜻한 엄마냄새가 났네

 

                            -강미정 '온몸이꽃'(시집 '상처가 스민다는 것')

 


       ---------------------------------------------------------

 

                                ▶강미정=경남 김해에서 출생.

                                   1994년 《시문학》을 통해 등단.

                                   시집으로는『상처가 스민다는 것』

                                 『그 사이에 대해 생각할 때』등이 있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 사랑을 줄 때이다. 마르지 않는 사랑을 퍼 올리고
     있는 어머니란 이름은 그래서 한 송이 꽃으로 피어난다. '따뜻한 햇빛' 속에서 '봄볕을
     쪽쪽 빨아당기'며 자라는 자식을 보는 행복이 어머니에게는 꽃이 피는 순간이다.


     자식은 한 잎의 사랑스러운 꽃잎이다. 세상에서 유일하게 이해타산이 없는 관계가
     부모자식지간이라지만 이 조건은 늘 한쪽으로 기울기만 한다. 하지만 사랑으로 키운
     자식은 언젠가 그 어머니를 한 송이 꽃으로 여기지 않을까?


     강미정 시인 또한 이러한 마음에서 어머니를 '온몸이꽃'이라 부른다. 어머니가 베푼
     사랑과 간절한 염원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충족해 주지 못한 자책감에 어머니를 
    '아픈 꽃'으로 인식한다.


     김춘수 시인은 누군가의 이름을 내가 불러 주어야 네게 와서 꽃이 된다고 했지만
     이들은 서로 불러 주지 않아도 이미 꽃이 되어 있다. 영원히 변질되지 않는 마음
     사람 냄새가 풍기는 꽃, 그것은 어머니 몸에서만 핀다.
                                                      정진경 시인
                                             busan.com/2014-05-09

 

 

http://blog.daum.net/kdm2141/4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