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詩/◈한편의詩調
**[가슴의 시조]문희숙-외등**
바다와바람
2016. 10. 24. 04:54

외 등
◈문희숙◈
굴뚝이 제 속을 까맣게 태우면서 누군가의 따스한 저녁을 마련할 때 길 건너 어둠을 받는 밀보릿빛 우산 하나
먹물에 목이 잠겨 야위는 강을 지나 내 꿈의 어지러운 십자로를 한참 돌아 사랑이 절면서 오는 굽은 길목 어귀에

-------------------------------------------------------------

▶문희숙=(1960~ ) 삼랑진에서 출생 1996년 중앙일보 지상 백일장에서 연말 장원으로 등단했다.
불이 조금씩 당겨지는 나날. 밤이 길어지며 불빛이 한층 다사해진다. 그럴 즈음 길목마다 밤
을 새우며 서 있는 외등은 기다림의 은유 같다. 목을 길게 늘인 등일수록 골목에 나와 서성
거리던 어머니의 눈빛을 담고 있다.
'제 속을 까맣게 태우면서/누군가의 따스한 저녁을 마련'하는 굴뚝도 그러하다. 웅숭깊은 속
내가 똑 어머니의 헌신을 닮았다. 그 연기들이 다 식구의 저녁을 마련하며 속 태우는 일이었
으니 무심코 지나쳐온 굴뚝의 세월이 새삼 다시 뵌다.
외등 아래 그림 같은 '밀보릿빛 우산'은 그래서 나날의 안온한 귀가를 했겠다. 그런 가운데
도 강물은 늘 떠나듯, 꿈은 여전히 '어지러운 십자로'다. 하지만 좀 더 설렁거려도 괜찮을 가
을이다. '굽은 길목 어귀' 어딘가에 한참씩 목을 얹어본 기억. 가을 저녁이라 더 그랬을까.
절면서라도 그대 오기만 한다면 외등으로 오래 서 있어도 좋으리.
정수자 시조시인 [가슴으로 읽는 시조] Chosun.com/2016.10.21

http://blog.daum.net/kdm2141/639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