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시]박노해-손무덤**

2014. 5. 3. 06:42″``°☆시들의모음/◈가슴의― 詩

 
   

                      

 

 

                          손무덤             -박노해-


                           기계 사이에 끼어 아직 팔딱거리는 손을
                           기름 먹은 장갑 속에서 꺼내어
                           36년 한 많은 노동자의 손을 보며 말을 잇는다
                           비닐봉지에 싼 손을 품에 넣고
                           봉천동 산동네 정형 집을 찾아
                           서글한 눈매의 그의 아내와 초롱한 아들놈을 보며
                           차마 손만은 꺼내주질 못하였다


                           훤한 대낮에 산동네 구멍가게 주저앉아 쇠주병을 비우고
                           정형이 부탁한 산재관계 책을 찾아
                           종로의 크다는 책방을 둘러봐도
                           엠병할, 산데미 같은 책들 중에
                           노동자가 읽을 책은 두 눈 까뒤집어도 없고


                           화창한 봄날 오후의 종로거리엔
                           세련된 남녀들이 화사한 봄빛으로 흘러가고
                           영화에서 본 미국상가처럼
                           외국상표 찍힌 왼갖 좋은 것들이 휘황하여
                           작업화를 신은 내가
                           마치 탈출한 죄수처럼 쫄드만

 

 

                             -박노해 '손무덤' 중에서 (시집 '노동의 새벽')-

 

 

      ----------------------------------------------------------

 

 

          ▶박노해=1957년 전라남도 함평.
             1984년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을 펴내 ‘얼굴 없는 시인’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1985년 결성된 서노련(서울노동운동연합) 중앙위원으로 활동하고,
             1989년 사노맹(남한사회주의노동자연맹) 결성을 주도했다. 
             1991년 3월 체포되어 24일간의 불법고문 끝에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

             수괴’ 죄목으로 사형이 구형되고, 무기징역형에 처해졌다.

 

             1993년 두 번째 시집 『참된 시작』, 1997년 옥중 에세이집 『사람만이

             희망이다』를 펴냈다. 1998년 8월 15일, 8년여 감옥 생활 끝에 김대중

             대통령의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되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선언

             직후 전쟁터로 날아가 반전평화활동을 하기도 했으며, 2005년에는 쓰나미

             이후의 아체에 다녀와 《Pamphlet 001:아체는 너무 오래 울고 있다》를

             펴냈다. 현재 ‘생명˙평화˙나눔’을 기치로 내건 사회단체 ‘나눔문화(nanum.

             com)’통해 ‘적은 소유로 기품 있게’ 살아가는 대안 삶의 비전 제시와 

            ‘평화나눔’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박노해의 '손무덤'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전리품으로 베어갔던 코를 묻은 '귀무덤'
      (코무덤(鼻塚)이란 말이 섬뜩하여 귀무덤으로 바꾸었다고 함)을 떠오르게 한다.
      치열한 전쟁터에서 죽은 사람들을 두 번 죽이는 승리자의 전리품. 패배한 사람의
      몸을 물질로 취급한 것이다. 사회적 약자들을 하찮게 여기는 인간의 잔악성은 돈의
      힘으로 몸이 호사지경에 이른 이 시대에도 여전하다.


      자본주의 권력자들은 칼이 아니라 돈으로 사람을 패배하게 한다. 특히, 조국 근대화
      란 미명 아래 희생된 70·80년대 노동자의 몸은 아주 싼값으로 대체되는 생산 공정
      의 부속이나 불가피한 전리품쯤으로 취급되었다. 무기력하게 자신의 몸을 전리품
      으로 내어 준 '귀무덤'과 '손무덤'의 원혼들. 한바탕 씻김굿을 해야 억울함이 해소될
      듯싶은 이 수상한 시절에 가슴에 새겨 봐야 할 시이다.

                                                정진경 시인
                                        busan.com/2014-05-02

 

 

http://blog.daum.net/kdm2141/4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