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창 아이
⊙정철훈⊙
어느 해 가을 어머니는 고향집에 가보고 싶다고 말씀하셨다 집이 낡았을 테니 가봤자 마음만 상하실 거라고 대꾸했지만 구정 연휴에 슬며시 찾아간 외가는 스러진 흙담에 담쟁이조차 남아 있지 않았다
안채로 들어서다 말고 멈춰 선 것은 사랑채 먼지 낀 유리창에 내 어린 시절이 비쳐서였다
토방 그득한 아이들 가운데 내가 끼여 있고 한 계집아이가 유별나게 입술을 내밀고 있다 숯검댕이 부엌에 웅크리고 앉아 달랑 간장 종지에 맨밥을 밀어 넣던 아이
주장집 외손이던 내가 방학이면 내려와 독상을 받을 때 그 아이는 막내를 포대기에 들쳐업은 천덕꾸러기 신세였다 부엌 심부름을 하며 아궁이불을 지피던 아이 언 손등이 터져 핏물이 짓무르던 그 아이의 뺨을 갈긴 사연이 떠오르지 않는다
지금 사는 곳이 어디냐고 외삼촌에게 묻자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라는 그 유리창 아이 그날 때린 뺨을 오늘에야 되돌려 받듯 얻어맞는다
-------------------------------------------------------------
▶정철훈=(1959∼)전남 광주에서 출생. 국민대 경제학과 및 러시아 외무성 외교아카데미 역사학 박사과정을 졸업. 1977년 《창작과 비평》 봄호에 〈백야〉 외 5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 시집으로 『살고싶은 아침』『내 졸음에도 사랑은 떠도느냐』『개 같은 신념』등
한 소년의 한 소녀에 대한 순정이 수채화처럼 그려진 황순원 단편 ‘소나기’가 대비돼 떠오른다. 이 시 속의 소녀는 폐가의 ‘사랑채 먼지 낀 유리창에’ 그 외롭고 가련한 모습 을 드러낸다.
화자가 ‘주장집(양조장 집) 외손으로 방학이면 내려와 독상을 받을 때’ 소녀는 그 집 ‘부 엌 심부름을 하며 아궁이불을 지피던 아이’였다. 그리 일을 한 대가가 ‘숯검댕이 부엌에 웅크리고 앉아 달랑 간장 종지에 맨밥을 밀어넣던’ 것. 이웃어른도 참 냉혹하거나 무심했다.
‘토방 그득한 아이들 가운데’ 어린 권력이었을 화자는 그 천덕꾸러기 소녀의 뺨을 갈겼 단다. ‘사연이 떠오르지 않는다’니 별 일도 아닌 일로. 입 하나 덜자고 어린 딸에게 남의 집 일을 시키고, 아기를 들쳐 업고 다니게 한 부모는 울타리가 돼 주지 못했을 테다.
어디 하소연할 데도 없이 소녀는 무섭고 서럽기만 했을 테다. 어쨌든 관심 밖이었던 소녀나 한 겨울방학의 유쾌하지 않은 에피소드나 화자의 기억에서 지워졌었는데, 오랜 세월이 지난 뒤 그 장소에서 되살아난다.
거짓말을 했다거나 돈을 유용했다거나, 그런 건 그냥 지나갈 수도 있다. 자기의 비열함 이나 폭력성으로 약한 사람에게 상처를 준 일은 화인(火印)처럼 남는다. 때때로 그들은 돌아온다. ‘먼지 낀 유리창’에 그 모습을 비추어 사죄할 길 없는 가해자로 하여금 가슴을 움켜쥐게 한다.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309> dongA.com/2014-09-15
http://blog.daum.net/kdm2141/48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