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시]<338>이제하-숲**

2014. 11. 21. 09:27″``°☆시들의모음/◈행복한― 詩

 

 

 

Richard Clayderman의 피아노 연주곡..


                                                               -이제하-

 

                                밤새 격렬하게 싸우다

                                달아난 애인을 뒤쫓아 숲까지 갔더니
                                웬 녀석이 사과궤짝까지 들고 와 새벽부터

                                웅변연습을 하고 있다.


                                구케의원이라도 돼

                                또 나라를 말아먹으려나 싶어 야리다 보니
                                한 옆에는 낯짝 우두바싸고

                                세상의 고뇌란 고뇌는 혼자 짊어진 듯이
                                신음소리를 내는 녀석까지 보인다.


                                하지만 고요한 바다와 푸른 나무로 에워싸인 숲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쫓던 애인도 잊고

                                나는 무슨 생각에 잠긴 말 곁으로 다가간다.


                                야채와 당근을 먹을 만큼 먹은 듯 말은
                                호주에 가 있는 짝이라도 생각하는 것 같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그렇게 받아들일 밖에 없다. 

 

 

 

     -------------------------------------------------------------

 

                          ▶이제하=(1937∼)경남 밀양 출생  
                             [현대문학]에 시 '노을' 등을 발표 
                             [신태양]에 소설 '황색 강아지' 당선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손'입선 
                             이상문학상 수상 ,한국일보문학상 수상 ,편운문학상 수상
                             시집 '저 어둠 속 등빛들을 느끼듯이', '빈 들판'
 
       
   여자나 남자나 성정이 불같은 연인들일 테다. 사랑할 때만큼이나 싸울 때도 격정적이

  ‘밤새 격렬하게 싸우다’ 급기야 애인이 뛰쳐나간다. 아직 어두운데 나가긴 어딜 나간단 말

   이냐. 걱정도 되고 해서 화자는 ‘애인을 뒤쫓아 숲까지’ 간다.

 

   숲은 일상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뭔가 낯선 것들이 거기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예로부터 숲

   은 시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왔다. 그런데 화자는 애인을 찾으러 숲에 갔다가 이런저런

   기이한 세상 풍경을 본다. 아무도 없을 것 같은 새벽 숲에서 ‘정치인’도 보고 ‘철학자’도 보

   고 말도 본다.


   말은 이제하의 상징동물이니 ‘시인’이라고 생각해도 될 테다. ‘우두바싸고’는 피난 보따

   싸듯 감당 못하게 담아 싼다는 뜻이다. ‘정치인’ 흉내 내는 놈과 ‘철학자’ 흉내 내는 놈에

   대한 야유에 찬 묘사가 ‘푸른 나무로 에워싸인’ 바닷가 숲의 아름다움과 대비돼 더욱 우스

   꽝스럽다.


   시의 배경이 된 공간은 제주도가 아닐까? 여행지에서도 독하게 싸운 그 애인은 어디서

   을 삭이거나 후회하고 있을까. 맨몸으로 뛰쳐나갔을 테니 혼자 공항에 가 있지는 않을 테

   다. ‘쫓던 애인도 잊고’ 화자는 ‘무슨 생각에 잠긴 말 곁으로 다가간다’. ‘야채와 당근을 먹

   을 만큼 먹은 듯 말은/호주에 가 있는 짝이라도 생각하는 것 같’단다.


   말은 시선을 아득히, 동이 틀락 말락 한 수평선 너머로 두고 있을 테다. 차분해진 화자도
   아득히 바다를 바라보며 생각한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그렇게 받아들일 밖에 없다’고.
   참으로 감수성이 안 늙는 시인 이제하!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338>
                                             dongA.com/2014-11-21

 

 

http://blog.daum.net/kdm2141/5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