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의 한시]딸을 잃고 처음 강가로 나갔다**

2014. 4. 29. 10:42″``°☆시들의모음/◈가슴의― 詩

 

                      

 

                       

 

                  딸을 잃고 처음 강가로 나갔다
 

 
                                        집의 좌우에
                                        약초밭과 화원이 있어
                                        어딜 가든
                                        따라오지 않은 적이 없었다.

 


                                        마음이 아파도
                                        책은 펼쳐보지 않는다.
                                        책을 말리던 그날
                                        네가 받쳐 들던 모습이 떠올라서다.


                                 喪兒後 初出湖上 悲悼殊甚 詩以志之

 

                                        藥圃花園屋左右(약포화원옥좌우)
                                        閑居何處不從行(한거하처불종행)
                                        傷心未忍開書帙(상심미인개서질)
                                        日他時憶爾擎(쇄일타시억이경)

 

 

                                                               일러스트/유재일

        ---------------------------------------------------------

 


    ▶심익운=지산(芝山)심익운(沈翼雲, 1734~1782)은 18세기 후반의 손으로
       꼽을만한 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주목을 받는 문사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그의 형 상운이 1776년 대리청정을 하던 세손(世孫, 후에
       정조正祖가 됨)을 문제 삼는 글을 올렸던 것이 문제가 되었다. 

 

       정조가 즉위하자 심상운은 처형되었고 심익운도 형의 죄에 연좌되어 흑산도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로 유배되어 그 곳 대정현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정조 시대에는 재주를 가진 사람들이 대체로 제 뜻을 펼쳤으나, 심익운 형제만은
       재주 때문에 편히 살지 못하고 화를 면치 못했다.


       영조 시대에 천재로 알려진 지산(芝山) 심익운(沈翼雲·1734~?)이 어린 딸을
       잃고 썼다. 사는 집의 좌우 양편에는 약초밭도 있고 화원도 있어 한가로이 집에
       머물 때면 자주 나가봤다. 그때마다 딸은 꼭 뒤따라 나와 함께 걸었다. 이제는
       집에 틀어박혀 있어도 약초밭이고 화원이고 가질 않는다.


       그나마 아픈 마음을 잊기에는 책을 읽는 것이 좋을 텐데 그 책도 펼치지 않는다.
       햇볕에 책을 말리던 날 제가 도와준다고 날라 오고 받쳐 들고 법석을 떨던 생각이 
       떠올라서다. 집 안팎 어디에도 딸이 남긴 추억이 서리지 않은 곳이 없다. 자리를
       박차고 마포 강가로 나갔다. 딸의 흔적이 없어도 흐르는 눈물 주체할 수 없다.

                                      안대회  |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가슴으로 읽는 한시]

                                          Chosun.com/2014.04.26 

 

 

 

http://blog.daum.net/kdm2141/4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