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시]최정란-보름달**

2014. 10. 18. 06:29″``°☆시들의모음/◈가슴의― 詩

 

 <

 

 

                              보름달

                                                                               ◇최정란◇


                                   누가 저 늪을 하늘에 파놓았을까
                                   어떤 바람이 그 속을 들여다보려고 애쓰다가
                                   헛되이 변죽만 울리고 지나가는지

 
                                   쉼 없이 흔들리는 금빛 윤슬
                                   소금쟁이처럼 가볍게 물을 건너지 못하고
                                   물가에서 신발을 벗었다 신었다 하는 동안
                                   얼마나 많은 물길이 저 고요 속으로
                                   흘러들었다 흘러나갔을까

 
                                   작은 빗방울에도 중심을 내어주는 과녁
                                   눈빛 닿은 곳부터 번져나가는 둥근 파문들
                                   달무리에 닿는다, 저만큼 고요해지기까지
                                   물아래 가라앉힌 것이 검은 꽃뿐일까

 
                                   밤하늘 가장자리 신발 벗어두고
                                   물속으로 걸어 들어가던 마음
                                   켜켜이 쌓이는 침묵의 배후
                                   그 마음 자락, 뒤로 잡아 당겨 주저앉히던 
                                   몇 번인지 모를 안간힘, 숨을 고른다


                                   마음이 바닥에 닿는 동안
                                   연꽃 한 송이 어둠의 수면 위로 올라온다
                                   물속에 갇힌 사람 하나 풀려 나온다


                                      -최정란 '보름달'(시집 '여우장갑'·

                                               문학의 전당·2007)-

 

 

      -----------------------------------------------------------

 

                                     ▶최정란=경북상주 출생
                                        2003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등단.
                                        시집 '여우장갑' '입술거울'.


    일신월정(日神月精)이라는 말이 있다. 밤낮을 한순간도 쉼 없이 운행하는 해와 달,
    두 천체의 합일을 통해야 비로소 우주의 정과 신, 즉 거대한 우주의 정신(精神)을 이룩

    할 수 있다고 한다.


    한의학에서도 우주 자연에서 비롯한 우리 몸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심장과

    신장을 일월에서 유추하고 있으며, '주역'의 마지막 '화수미제(火水未濟)'괘도 영원한    

   '미제'라는 순환론은 차치하고라도 달은 물, 해는 불과 관련짓고 있음은 실로 의미심장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늘에 두둥실 떠오른 '보름달'을 보면서 '물'을 생각해 내는 시인의 눈길이 결코 예사

    롭지 않다. '누가 저 늪을 하늘에 파놓았을까'라는 의문은 단순히 의문 그 자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이고 근원적인 이 의문을 통하여 인간의 한계성 을 드러

    내며 '하늘'을 향해 발원하고 토로하는 자세라 여겨진다.


   '늪'이라는 좌절의 수렁은 언제나 우리 삶에서 쉽게 건너뛸 수 없는 장애물이므로 저
    하늘에까지 높다랗게 제시되어 있는 게 아닌가. 마침내 '연꽃'으로 승화시키면서 삶을
    영위해 가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오정환 시인
                                          busan.com/2014-10-17

 

 

http://blog.daum.net/kdm2141/4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