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시]이선희-가을에는**

2014. 10. 11. 12:20″``°☆시들의모음/◈가슴의― 詩

 

 

 

 

 

 

                                 가을에는

                                                                       ⊙이선희⊙


                                 그리움도 가끔은 접을 수 있었음 좋겠다
                                 핸드폰 접듯 느릿느릿 접어
                                 헐렁한 포켓 한 귀퉁이에 슬쩍 끼워두고 싶다

 
                                 아무렇지도 않게 해가 뜨고
                                 아무렇지도 않게 해가 지고
                                 바람이 제 살을 빚어 구절초로 피어나는
                                 언덕 위에 사뿐히 내려앉는
                                 맑고, 높고, 쓸쓸한,
                                 그리움도 가끔은 요란한 소리가 났으면 좋겠다


                                 찌그러진 깡통 같은 심장에
                                 소나기로 박히는 소리의 파편들
                                 속으로만 웃고
                                 속으로만 우는

 
                                 나무들 제 그림자에 잠기는 산등성이 어디
                                 아무렇지도 않게 달이 뜨고
                                 아무렇지도 않게 달이 지고 
                                 산처럼 높게
                                 산처럼 깊게
                                 흔들리고 싶다


                                 가을에는...


                                -이선희 '가을에는'(시집 '내안의 물고기
                                                      그림'·문학의 전당·2010)-

 

 

   --------------------------------------------------------------

 

                              ▶이선희=1999년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찻잔 앞에서>로 시부문 당선

 

    생성쇠장(生成衰藏)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지엄한 우주의 변화 원리도 결국 거룩한

    하늘의 뜻을 해와 달이 대행하면서 한 치의 어긋남 없는 운행으로 이어 가는 것이만,  

    우리는 단순히 계절의 순환을 통하여 새삼스레 시간의 흐름과 세월을 느끼고 짐작할

    수밖에 없다.


    어느덧 목덜미 속으로 스산한 바람 스며드는 한로(寒露)를 지나면서 어김없이 다가

    오는 가을의 계절감을 실감하게 된다.


    결코, '아무렇지도 않게' 해가 뜨고 지고, '아무렇지도 않게' 달이 뜨고 지는 건 아니

    지만, 나날이 반복되는 무심한 일상에서 선연한 '구절초로 피어나는' 가을바람을

    맞으며 불현듯 사무치는 '그리움'에 잠겨 든다.

 

    우리들 스스로 '산처럼 높게 산처럼 깊게' 조감하고 성찰해야 하는 계절이 가을인

    것 같다. '그리움'의 정서를 새로운 청각적 이미지로 환치시킨 시적 성취가 돋보인다.


                                                     오정환 시인
                                           busan.com/2014-10-10

 

 

 

http://blog.daum.net/kdm2141/4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