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시]<399>오하룡-김경윤**

2015. 4. 18. 07:30″``°☆시들의모음/◈행복한― 詩

 

 

 

 

 

                         김경윤  

                                                                     ◇오하룡◇
 

                           그는 김경윤입니다
                           그와 어머니는 서른 살 차이고 나와는 쉰 살 차이였습니다 
                           나이 따위 세상을 알고 난 후에는 아무것도 아닌 일인데
                           그때는 왜 그렇게 나이가 걸리적거리던지
                           두 분 사이 어색히 여긴 일 지금도 사과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어떻든 이승의 한 갈래 길에서 어머니는 그의 팔을 잡게 되고
                           나도 그냥 그의 한쪽 팔을 잡고 동행이 되었습니다
                           나는 그를 시원하게 아버지라 부르지 못했습니다 
                           그도 어색하긴 마찬가지였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서른 해를 한참씩 딴 길을 가다간 다시 합류하고
                           딴 길을 가다간 합류하다가 그는 여든다섯에 이승을 떠나고
                           어머니도 그로부터 열두 해를 더 보내고 예순아홉에 떠났습니다 
                           지금 호젓이 그와 어머니를 생각합니다


                           그들과 동행이었다는 사실을 생각합니다 다만
                           그의 이름을 되새겨 보고 있습니다 나와 동행이어서
                           그의 발걸음이 허둥거리지 않았기를 바라지만

 

 

 

    -------------------------------------------------------------

 

                             ▶오하룡(1940∼ )일본 출생,
                                구미, 창원, 부산 등지에서 성장
                                1964년 시동인지 <잉여촌> 창간동인으로 활동,
                                1975년 시집 ‘모향(母鄕)’으로 등단
                                시집 ‘잡초의 생각으로도’, ‘별향’ 등
                                경남문인협회, 경남아동학회 이사

 

   한 가족의 서사가 담긴 자전적 시다. 시인과 쉰 살 차이가 난다니 ‘그’는 1890년생이며
  ‘여든다섯에 이승을’ 떠났다는 해는 1975년일 테다. 그들이 ‘동행’한 세월이 ‘서른 해’,
   인연이 시작된 1945년에 시인은 만 다섯 살이다. 어린 아들이 딸린 젊은 여인이 자기
   보다 서른 살 가깝게 많은 남자의 ‘팔을 잡게’ 되기까지, 그리고 그 이후의 삶에 곡절이 
   없을 수 없다. 종종 곡절의 요인이었을 아들, 시인은 ‘그’와 ‘한참씩 딴 길을 가다간 다시
   합류하고 딴 길을 가다간 합류’했단다.


  ‘장화홍련’이나 ‘콩쥐팥쥐’ 같은 이야기는 제 피가 섞이지 않은 자식에 대한 무정함과 미
   움이 사람에게는 있게 마련이라는 편견을 굳히고 그에 대한 공포를 증폭시킨다. 하지만 
   당최 곁을 주지 않거나 못되게 굴어서 계모나 계부를 외롭고 괴롭게 만드는 자식도 드물
   지 않다. 시인은 대놓고 삐뚤어진 행태를 보이지는 않았겠지만 ‘그’와 끝내 친해지지는
   못한 듯하다. 아이들은 제 부모가 나이가 너무 많으면 부끄럽게 여긴다.


   하물며 할아버지 나이인 그는 친아버지도 아닌데 젊은 어머니의 남편이다. 어린 시인은
   이 관계들이 마뜩지 않고 ‘그’를 대하기 어색하기만 했단다. 늘 데면데면한 손자뻘 의붓
   자식과의 ‘동행’이 ‘그’도 녹록지 않았을 것이다. 먼 옛날에서 살뜰한 추억도 없이 한숨과
   함께 떠오르는 이름, ‘김경윤’. ‘나는 그를 시원하게 아버지라 부르지 못했습니다’. 시인은
  ‘지금 호젓이 그와 어머니를 생각 ’하면서 세월과 인연의 아득한 물살에 휩쓸린다.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399>
                                           dongA.com/2015-04-18

 

 

 

http://blog.daum.net/kdm2141/5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