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시]<411>김이듬-모르는 기쁨**

2015. 5. 14. 07:57″``°☆시들의모음/◈행복한― 詩

 

 

                              Ombra Mai Fu (G. F. Handel) - Milva 

 

 

         모르는 기쁨

                                                                            ◇김이듬◇


                         해운대 바다야, 아니 바다 아니고 바닷가야.
                         작은 여자가 자기 머리칼을 한 묶음 손으로 쥔 채
                         몸을 숙이고 모래밭에서 한참 동안 뭔가를 찾고 있어.


                         그녀에게 뭘 그리 열심히 찾고 있냐고 물어보았지.
                         몰라도 된다고 하네.
                         나는 그녀가 그 백사장에서 썩어서 하얗게 바랜 
                         애인의 유해를 찾고 있는 거라고 생각했어.


                         어리둥절해지는 순간에,
                         뭐하러 손가락으로 모래 위에 적고 있나,
                         몰라도 된다고 나는 내게 말하지.


                         내 생각의 절반 이상은 몰라도 되는 생각,
                         억지스런 상상. 난 눈을 질끈 감아보지. 보이지,
                         캄캄한 심해의 눈 없는 물고기처럼 비로소 나는 활발해지지.
                         죽은 나의 사람들이 지하 언덕에서
                         지느러미로 춤추며 나를 건드려.


                         나는 출렁거리지. 돌멩이도 노래하고 저녁도 낄낄거리네.
                         멈추지 않는 슬픔, 검은 파도,
                         도저히 볼 수 없는 사람들을 사랑해.
                         금이 간 찻잔 같은 얼굴로 나는 웃고 있겠어.

 

 

 

     ------------------------------------------------------------

 

                               ▶김이듬=(1966~)경남 진주 출생 
                                  2001년 ‘포에지’로 등단 
                                  시집 ‘별 모양의 얼룩’ ‘명랑하라 팜 파탈’
                                  ‘말할 수 없는 애인’ ‘베를린, 달렘의 노래’,
                                  장편소설 ‘블러드 시스터즈’
                                  시와세계작품상, 김달진창원문학상,
                                  올해의좋은시상 수상


    철이 좀 이르거나 갓 지난 해수욕장이다. 아니면 제철인데 날이 저물기도 했고, 하늘에

    먹구름이라도 끼어서 해수욕객들이 거의 돌아갔을까. 한적한 바닷가 모래밭에서 아마

   ‘멍 때리고’ 있었을 화자 눈에 한 ‘작은 여자’가 들어온다. 샤워를 하다가 화급히 돌아온

    듯 ‘자기 머리칼을 한 묶음 손으로 쥔 채’ 그녀는 ‘한참 동안 뭔가를 찾고 있’다.


    굉장히 소중한 것인가 보네. 같이 찾아줄 생각으로 뭘 찾고 있냐고 묻는 화자에게 ‘몰라

    도 된다고’ 쌀쌀맞은 대답이 돌아온다. 화자가 한 말이 시에 쓰인 그대로 ‘뭘 그리 열심

    히 찾고 있냐’였다면 ‘작은 여자’가 뾰족하게 반응할 만하다. 화자 성정의 착함이나 말투

    를 알 리 없으니 발화된 말 그대로 받아들일 테니까. 애타 죽겠는데 호기심에 찬 구경꾼

    의 참견이라니!


    무르춤해진 상황에서 화자는 ‘작은 여자’를 발견하기 전에 하던, 멍하니 생각에 잠겨 무

    심코 ‘손가락으로 모래밭에’ 글자를 새기던 짓으로 돌아간다. ‘내 생각의 절반은 몰라도

    되는 생각’, 다른 이에게는 하찮을지 몰라도 내게는 너무 소중한, 아무도 모르게 나만의

    것인, 간단히 설명할 수 없는, 말하고 싶지 않은, 그 생각이 화자를 바닷가로 이끌었을

    것이다.


   ‘눈을 질끈’ 감고 화자는 생각에 깊이 잠긴다. 바닷가 모래밭의 모래들은 숱한 생명체들

    의 ‘하얗게’ 바스러진 유해. 때때로 그들은 돌아온다. 그들 모습 생생해서 웃음이 피어오

    른 채 일그러지는 화자 얼굴. 다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멈추지

    않는 슬픔’으로 얼굴에 죽죽 금이 가는 화자, 눈을 감고 ‘검은 파도’에 출렁출렁 실려

    간다.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411>
                                          dongA.com/2015-05-13

 

 

 

http://blog.daum.net/kdm2141/5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