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시]김성배-다시 을숙도·1**

2013. 6. 15. 09:25″``°☆시들의모음/◈가슴의― 詩

 


                                                                                           
                             

                           다시 을숙도·1

                                                                                  / 김성배

 

                            풀잎 조개 하나가 내게 와서 웃는다.
                            강 건너 나무들이 일으켜 세운 걸음으로
                            강둑길을 따라 긴 어둠의 내 나이를 뚫고
                            그림자 손짓하며 온다.


                            물결 구르는 햇볕 만지작거리며 강폭에 키를 잰다.
                            섬 지나 마을 들머리 휘어진
                            삿대 물길에 솟아오른 정자나무
                            허리 감아 흐르는 포구에 물구나무선다.


                            흙냄새 여민 어머니
                            명주고름 강 속 깊이 드리우면
                            젖은 새떼들의 그리움이 내게 와서 안긴다.


                            뿌연 연기 빙빙 도는 연줄을 따라
                            윤슬이 춤을 추면, 지붕에 걸린 붉은 노을
                            얼레에 배인 강물을 풀어낸다.


                            저녁의 푸른 별 다가와서 어머니를 부르고 있다.
                            지평선 닿은 섬과 섬 거꾸로 잠기고 있다.
                            을숙도 갈대소리 내게 와서 웃는다.


                          -김성배의 '다시 을숙도·1
                          '(엔솔로지 '시를 부르는 은행나무'·詩와에세이·2010)

 

 

          -------------------------------------------------------------------

 

                                 김성배=1964년 충남 조치원 출생.

                                     2009년 '시평' 여름호 신인상 등단.

                                     저서 '문학을 찾아서 시비를 찾아서'.


         지금의 을숙도를 보면 괜히 짜증이 난다. 양분하며 지나가는 도로에 의해
         을숙도는 사망한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70년대 초 청춘들은 을숙도
         갈대밭을 배경으로 저무는 낙조를 보며 사랑에 빠지곤 했다. 갈대 사이로
         숨어 있는 철새들의 보금자리, 숱한 게들이 파놓은 구멍들, 그 위로 지나가는
         연인들의 젖은 발자국, 해질 무렵이면 삼삼오오 짝을 지어 찾곤 하던
         유토피아였다.

         그러나 떠나고 없다. 그때의 을숙도가 지금 고스란히 남아 있다면 세계적인
         관광명소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 부산은 명품 도시로 세계인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도시가 되었을 터이다. 을숙도는 그 생각만으로 지나갈 때마다 
         부아가 끓어오른다. 자연은 이 시대에 주어진 만큼 사용해야지 미래 자산까지
         우리가 끌어다 써 버린다면 후손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강영환 시인
                                     busan.com.2013-06-14 [09:39:21]

 

 

 http://blog.daum.net/kdm2141/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