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그림자는 담배 연기 그림자를 날리고,
비둘기 한 떼가 부끄러울 것도 없이
나래 속을 속, 속, 햇빛에 비춰, 날았다.
기차는 아무 새로운 소식도 없이
나를 멀리 실어다주어,
봄은 다 가고
―동경(東京) 교외 어느 조용한 하숙방에서,
옛 거리에 남은 나를 희망과 사랑처럼 그리워한다.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고,
오늘도 나는 누구를 기다려 정거장 가까운
언덕에서 서성거릴 게다.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
▶윤동주=(1917∼1945)尹東柱,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다.
아명은 윤해환(尹海煥),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화민국 지린 성
연변 용정에서 출생,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숭실중학교 때 처음
시작을 발표하였고,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그의 시는 <서시>와 <별 헤는
밤>을 비롯, <간>, <길>, <또 다른 고향>, <쉽게 씌어진 시>, <십자가>,
<아우의 인상화>, <자화상>, <참회록> 등 모두 10편이다. 이하생략
1942년 5월 13일에 쓴 시다. 시인이 일본 도쿄의 릿쿄대 영문과에 입학한 게 그해 4월,
낯선 외지에서 학업을 시작하랴 방 구하랴 정신없었을 테다. 그렇게 ‘봄은 다 가고’,
어느 정도 안정을 찾자 비로소 향수가 밀려왔을 테다. ‘동경 교외 어느 조용한 하숙방’,
멀지 않은 곳에 기찻길이 있을 테다.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고’,
시인이 온종일 하숙방에 있었을 아마 일요일.
다다미 위에는 유리창으로 들어온 저녁 햇살이 아른거리고, 어쩌면 시인은 그 위에 잠시
누워 있는 중일지도 모른다. 문득 고국에서 이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게 꿈 같기만 할
테다. 바로 얼마 전까지 살았던 서울이 가슴 저리게 그립다. 마침 또 지나가는 기차 소리
가 들린다. 그 소리가 실어다주는 시인의 ‘사랑스런 추억’….
‘서울 어느 쪼그만 정거장’은 시인이 그 전해 12월에 졸업한 연희전문(현 연세대) 근처의
신촌역일 듯하다. 시인은 곧잘 그 정거장에 가곤 했나 보다. 기다릴 누군가가 있어서일
수도 있지만, 막연히 상상 속 여인을 그리는 가벼운 춘정(春情)의 발로일 수도 있다. 청춘
아닌가! 어쨌든 시인은 기차역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기차는 어쩐지 ‘희망과 사랑’을 싣고
올 것 같은 것이다.
기차는 번번이 ‘아무 새로운 소식 없이’ 지나가고, 시인을 멀리 실어다 주었단다. 이 먼
데서 시인은 그 부질없는 기다림을 아름다이 추억한다. 청춘이어서 막막한 기다림에
안절부절 목매었기에. 노동운동가 황광우의 회고록 ‘젊음이여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는
이 시의 마지막 행에서 따온 제목이다. 순탄했건 순탄치 않았건, 후회 없는 젊음을 보낸
사람들만이 이리 노래할 수 있을 테다. 12월 30일은 윤동주가 태어난 날이다.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355>
dongA.com/201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