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시]<361>편덕환-대물림**

2015. 1. 16. 12:21″``°☆시들의모음/◈행복한― 詩

 

                       

                                                                   명상음악 - 진흙속의 연꽃

 

                                 대물림

                                                              ◇편덕환◇

 

                                   연꽃이 떨어지고 나면
                                   연 밭에는 연밥이 가득 꽂혀 있습니다.
                                   나는 쪽배를 요기조기 띄워가며 연밥을 따지요


                                   올해는 예년에 비해
                                   풍년이 들어 많이 따게 되었습니다.
                                   아까부터 우리 아버지께서는
                                   정자나무 아래 등의자에 기대인 채
                                   연밥 따는 아들 모습을 쳐다보고만 계셨습니다.


                                   몇 십년간 떳떳하게 맡아 해 오셨던 일을
                                   송두리째 넘겨주시고 손을 놨기 때문에
                                   서운함을 느꼈던 때문일까요.


                                   샘물은 퍼내고 퍼내도 마르지 않듯이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대물림은
                                   언제까지나 식지 않으며 뼈붙이로만,
                                   뼈붙이로만 이어져가는 겁니다.

 

 

 

    --------------------------------------------------------------

 

                ▶편덕환=(1937∼ )1937年 忠南 論山에서 출생
                   圓光高等學校 및 圓光大學校 敎學大學院을 修了하였음.
                   1954年 文敎部主催 全國學生白日場大會에서 중학교 
                   3학년생으로 참가 차상입상. 계刊 ‘文學과 意識’에서 制定한
                   新人文學賞에 태풍 外 12편의 詩로 當選되어 作品活動을 시작
                   2006年 大韓民國 文學살리기 運動本部 제12회 桂冠詩人賞을 수상.
                   詩集으로는 '우체통 위에도 눈이 내렸다' '감나무 베어지는 날' 등
                   ......이하생략


  연밥 농사가 풍년이라니 연꽃도 장관이었겠다. 호수처럼 너른 연못일 테다. 활짝 펼쳐진

  푸른 치마 같은 연잎 사이로 ‘쪽배를 요기조기 띄워가며 연밥을 따’는 목가적인 풍경이 눈

  에 선하다. 하지만 8월 한여름 땡볕 아래서 울창한 연잎과 줄기를 헤치고 노를 저으며, 쪽

  배가 묵직해지도록 연밥을 따는 일은 호락호락하지 않은 노동일 테다.


  화자는 어느 결에 ‘채련요(採蓮謠)’를 흥얼거렸을지도 모른다. ‘상주 함창 공갈못에/연밥

  따는 저 처자야/연밥줄밥 내 따 줄게/이내 품에 잠자다오/잠자기는 어렵잖소/연밥 따기 늦

  어지오’, 화자 아버지도 익히 아실 그 가락.


 ‘아까부터 우리 아버지께서는/정자나무 아래 등의자에 기대인 채 연밥 따는 아들 모습을

  쳐다보고만 계셨’단다. 당신의 땅에서 평안하게, 당신이 ‘몇 십년간 떳떳하게 맡아 해 오

  셨던’ 일을 이어받은 아들을 지켜보는 지복이여. 그런데 화자는 어쩐지 죄송스럽다.


  일선에서 물러난 아버지의 쓸쓸함과 서운함을 알 것 같은 것이다. 아버지를 위로하려 화자

  는 외치고 싶다. 아버지, 제가 아버지예요! 아버지와 나 사이는 ‘언제까지나 식지 않으며 뼈

  붙이로만, 뼈붙이로만 이어져가는 겁니다!’ 왜 뼈붙이일까? 노동의 뼈? ‘뼈대 있는 집안’의

  그 뼈? 아버지와 아들, 남자의 대물림은 아무래도 피보다 뼈인가 보다.


  노에 닿는 물의 결, 쪽배의 흔들림, 연잎 사이에 숨어 있는 탐스러운 연밥을 비틀어 따는 감

  촉, 수면 위로 피어오르는 구수하고도 풋풋하고도 비린 냄새, 그 하나하나를 아버지는 아들

  의 몸으로 되사실 테다.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361>
                                            dongA.com/2015-01-14

 

 

 

http://blog.daum.net/kdm2141/5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