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의 시조]박방희-꽃에 집중하다**

2015. 4. 6. 14:19″``°☆아름다운詩/◈한편의詩調

 

 
 
 
 
            꽃에 집중하다
                                                                       ⊙박방희⊙

 
                                 몸보다, 이파리보다, 꽃에 집중하는 나무
                                 거멓게 말라 터진 몸뚱이는 내버려두고,
                                 오로지 꽃 피우는 데만 몰입하는 벚나무
 

                                 푸른 잎 생략하고 치장도 생략하고
                                 꽃에만 전념하는 선택과 집중으로
                                 수만 개, 망울을 맺고, 보듬어 키우다가
 

                                 팡팡팡 펑펑펑 절정에서 터트린
                                 저 함성, 저 폭발, 저 만개, 저 아수라,
                                 마침내 두둥실 떠오른 눈부신 극락 한 채!
 
 
 
     -------------------------------------------------------------
 

 

                        ▶박방희=(1946~)경북 성주 출생
                           1985년부터 무크지『일꾼의 땅』과 『민의』
                          『실천문학』등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
                           시집『불빛 하나』『세상은 잘도 간다』가 있고, 
                           동시집『참새의 한자 공부』,『쩌렁쩌렁 청개구리』,
                          『머릿속에 사는 생쥐』,『참 좋은 풍경』,
                          『날아오른 발자국』, 시조집『너무 큰 의자』
                           푸른문학상, 새벗문학상, 불교아동문학작가상,
                           방정환문학상, 우리나라 좋은 동시 문학상.

 
    꽃들의 폭발! '거멓게 말라 터진 몸뚱이'에서 벚나무는 올봄도 새 꽃을 피워 올린다.
    '오로지 꽃 피우는 데만 몰입'한 덕이다. 그렇게 '푸른 잎'도 '치장도 생략'한 결과라니
    과연 몰입(沒入)의 꽃다운 경지가 아닌가. 잎보다 먼저 피는 봄꽃들 중에도 유독 눈부
    신 벚꽃. 키가 큰 만큼 꽃들의 함성도 높아 가히 즐길 만한 꽃폭죽이다.

   '팡팡팡 펑펑펑' 터지는 꽃들의 '아수라'! 그 끝마다 '눈부신 극락 한 채'가 두둥실 떠오
    르고 있다. 아수라가 시끄러운 만개(滿開)까지의 비유라면 극락은 가장 눈부신 절정(絶
    頂)의 한때겠다. 하지만 한껏 공들인 개화(開花)도 한순간에 하르르 지워 순간의 미학
    을 빚는 게 또 벚꽃의 길이다. 그런 헌화(獻花)가 어찌 벚꽃뿐이랴. 모든 개화 앞에 봄을
    다시 받들밖에.
    
                                    정수자 시조시인 [가슴으로 읽는 시조]
                                              Chosun.com/15.04.06
 

 

  

 

http://blog.daum.net/kdm2141/5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