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의 시조]홍오선-수평선**

2015. 4. 23. 12:39″``°☆아름다운詩/◈한편의詩調

 

 

 

 

           수평선

                                                             ◇홍오선◇
 

                                                너를 받쳐 물이 된 나
                                                나를 안아 허공 된 너


                                                오늘토록 멍이 들어 
                                                바장이는 눈시울에


                                                잡힐 듯
                                                잡지 못한 손이
                                                아득히 닿아 있다.

 

 

 

   ---------------------------------------------------------------

 

      ▶홍오선=(1944~ )1985년 월간문학 신인상, 시조문학 천료로 등단
         시조집<수(繡)를 놓으며><내가 주운 하얀 음표><하늘바라서리라><행복찾기>
         <내 손 안 푸른 지환> <사랑니 뽑다><냉이꽃 안부> 동시조집<아가랑 할머니랑>
         한국시조시인협회 부회장 역임, 한국여성시조문학회 회장 현대시조문학상,
         한국시조시인협회상, 이영도시조문학상, 한국동시조문학상 수상


     하염없이 바다만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대답 없는 이름을 날마다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그 곁에서 눈물을 삼키며 흘리며 같이 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얼마를 더 불러야
     하는가. 그곳에도 봄은 왔건만 돌아오지 못한 얼굴들로 여전히 춥고 외롭고 스산하다.


     물과 하늘이 닿을 듯 이루는 신기루 같은 수평선. 많은 섬으로 둘러싸인 항구는 여느
     수평선을 보기 어려운 곳이다. '너를 받쳐 물이 된 나'와 '나를 안아 허공 된 너'라는
     완전한 합일(合一) 같은 선(線)은 더 멀리 나가야 만날 수 있다. 그런데 무심히 보던
     수평선도 오늘은 '멍이 들어 바장이는 눈시울'이 된다. 그 '멍'이 오래 참아온 울음처럼
     다가든다.


    '잡힐 듯' 한데 '잡지 못한 손'도 안타깝게 헤어져 부르는 두 손만 같다. 그렇게 '아득히
     닿아 있다'니 서로에 대한 갈망으로 '오늘토록' 닿을 듯 말 듯 당기고 있는 것인가. 멀리
     두고 볼 때 더 선명해지는 물과 하늘의 접선(接線)인 수평선이 오늘따라 여러 겹의 '멍'
     을 펼쳐놓는다.


                                    정수자 시조시인 [가슴으로 읽는 시조]
                                            Chosun.com/2015.04.20 

 

  

http://blog.daum.net/kdm2141/5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