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의 시조]정일근-만트라, 만트라**

2015. 5. 19. 09:43″``°☆아름다운詩/◈한편의詩調

 

 

 

 

 

 

           만트라, 만트라

                                                                         ⊙정일근⊙
 
                               육신이야 옷을 벗듯 빙하(氷河) 위로 던져버려라
                               늙은 라마 느릿느릿 입안의 경(經)을 씹는 저녁
                               내 늑골 열두 뼈 사이 적멸이 눈을 뜬다


                               하늘에는 외눈 독수리 몰입의 원을 그리고
                               땅에는 주술(呪術)처럼 펄럭이는 오색 룽다
                               내 속의 또 다른 내가 나를 불러 밤은 온다

 
                               살은 뼈를, 뼈는 피를, 피는 신(神)을 부르는 시간
                               열반의 그 뜨거운 호명(呼名)을 기다리며
                               설산(雪山)이 우주를 열고 만트라를 외고 있다.

 

 

 

     ------------------------------------------------------------

 

               ▶정일근=(1958~ )경남 진해 출생
                  1984년 <실천문학>과 1985년 한국일보에 시로 등단
                  1986년 서울신문에 시조로 등단
                  시집<바다가 보이는 교실>(1987)<처용의 도시>(1995)
                  <유배지에서 보내는 정약용의 편지>(1991)<경주남산>(1998)
                  <그리운 곳으로 돌아보라>(1994)<마당으로 출근하는 시인>(2003)
                  <누구도 마침표를 찍지 못한다>(2001)<오른손잡이의 슬픔>(2005)
                  시조시집<만트라, 만트라>(2005)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소월시문학상, 영랑시문학상 우수상, 한국시조작품상

  
    연꽃등이 거리를 메울 즈음이면 절로 손을 모으고 싶어진다. 저 꽃등을 타고 전해질까,
    소망들은. 아름다운 연등 행렬에 취하다 먼 곳의 참사에 전율하며 오그릴 때, 그때마다
    사람이란 얼마나 보잘것없는 존재인가. 네팔의 지진 앞에서는 더 큰 일이 없기를 빌며
    누구나 숙이는 마음이었으리라.


   '영적 또는 물리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여기는 발음, 음절, 낱말 또는 구절'이라는
    만트라. 그 진언(眞言)을 주문처럼 외면 뭔가 달라질 수 있을까. 열반이라는 '뜨거운

    명(呼名)을' 받들 수 있을까. 재난은 왜 가난한 사람을 늘 먼저 불러 가는지, '늙은 라마'

    처럼 새삼 경(經)이라도 느릿느릿 씹어야겠다.

     
                                  정수자 시조시인 [가슴으로 읽는 시조]
                                           Chosun.com/2015.05.18

 

 

http://blog.daum.net/kdm2141/5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