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시]<423>김지윤-서귀포 오일장에서**

2015. 6. 10. 07:14″``°☆시들의모음/◈행복한― 詩

 

 

                                Blue Waters-Ernesto Cortazar

 


           서귀포 오일장에서

                                                                          ◆김지윤◆


                              매일 비워졌다 또 밀물 차오르는 모래톱처럼
                              닷새마다 꼬박꼬박 열리는 오일장


                              가을감자 파는 좌판 할머니 앞에서
                              한 푼, 두 푼 버릇처럼 감자 값을 깎다
                              하영 주쿠다(많이 줄게요), 하며 감자 자루 내미는
                              부르튼 손 검은 흙 낀 손톱 보며
                              할머니 텃밭 감자 위로 하영 쏟아졌을
                              뙤약볕처럼 사뭇 낯 뜨거워져


                              바람이 차요, 남은 것 제가 다 사드리면 집에 가 쉬실래요?
                              응, 응, 경허믄 고맙수다게(그러면 고맙지요)
                              할머니 말씀에 그만 감자를 한 무더기나 사서
                              한 바퀴 돌다 집에 가는 길


                              아까 그 자리 그대로
                              한 무더기 감자를 또 그만큼 앞에 내놓고
                              여전히 같은 모습으로 앉아 있는 할머니


                              할머니의 좌판에 놓인 감자를 정녕
                              내가 모두 가져갈 수 있다고 믿다니!
                              늘 그만큼의 부피와 무게가
                              도돌이표처럼 돌아오는 게, 삶이라고
                              좌판에 앉은 할머니 나를 조용히 꾸짖는 듯하다


                              그날 저녁 소반 가득 찐 감자를 내놓고
                              자꾸 먹어도 허기지다


                              한 입씩 베어 문 듯 자꾸 비워지는 초승달처럼,
                              어둠이 살라먹은 자리 다시금 채워지는 만월(滿月)처럼.

 

 

 

    --------------------------------------------------------------

 

                    ▶김지윤=(1980∼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석사과정을 거쳤다.
                       2006년 제26회 《문학사상》 신인상으로 등단,
                       앤솔로지 시집 《2007 젊은 시》(문학나무)에 선정, 수록했다.
                       프리랜서 기자, 자유기고가, 문화기획자 등으로 활동


   그래도 텃밭에서 거둔 작물을 장터에 들고 나오신 할머니는 낫게 느껴진다. 다 해야 3만

   원어치 될까 싶은 자질구레한 물건을 놓고 육교나 지하도에 쪼그려 앉았거나, 깊은 밤에

   작은 수레를 끌고 다니며 폐품을 모으는 노인을 볼 때면 소설가 강석경이 한 시인에 대해

   쓴 글의 서글픈 구절이 떠오른다.


  ‘생활력이 없어도 생활비는 필요하다.’ 소년소녀가장은 물론이고 노동시장이 필요로 하

   는 능력을 익힐 기회가 없었던 모자가정의 어머니, 청장년이지만 체력도 요령도 없어 육

   체노동 현장도 넘보지 못하는 이 등, 어떻게 살아야 할까….


   전통시장에서의 깎는 재미, 물건마다 정가가 붙어 있는 대형마트에서는 맛볼 수 없다.

  ‘버릇처럼’ 푼돈을 깎던 화자는 ‘값을 깎지는 마라. 그 대신’ 많이 주겠다며 ‘감자 자루 내

   미는/부르튼 손 검은 흙 낀 손톱 보고’ 낯이 뜨거워진다. 할머니가 여름내 ‘하영 쏟아졌을

   /뙤약볕’ 밑에서 가꾼 감자를 재미로 깎다니. 화자는 감자를 전부 샀단다. 죄송하기도 했

   고, 날도 찬데 좌판을 지키고 계신 할머니를 어서 쉬게 해 드리고 싶었던 것.


   그런 자신의 선심을 무효로 만든 할머니를 보며 화자는 거듭 반성한다. ‘내가 모두 가져

   갈 수 있다고 믿다니!’ 따뜻한 마음은 상대방 처지를 상상하고 이해하는 지적 능력에서

   온다. 냉혹한 사람은 아둔한 사람이기 쉽다네.


                                  [황인숙시인의 행복한 시 읽기]<423>
                                          dongA.com/2015-06-10

 

 

 

 

http://blog.daum.net/kdm2141/5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