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인 수녀의 詩편지](32)다산의 말**

2020. 5. 21. 07:24″``°☆아름다운글/◈이해인님글


  



 


      

                            

                                                다산의 말
                                                                                                       ◈이해인◈


                                               “남이 어려울 때 자기는 베풀지 않으면서
                                                 남이 먼저 은혜를 베풀어 주기를 바라는
                                                 것은 너의 오만한 근성이 없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벼운 농담일망정
                                                ‘나는 전번에 이리저리 도와주었는데
                                                 저들은 이렇게 하는구나!’ 하는 소리를
                                                 한마디라도 입 밖에 내뱉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말이 한 번이라도 입 밖에
                                                 나오면 지난날 쌓아놓은 공덕이 하루
                                                 아침에 재가 되어 바람에 날아가듯
                                                 사라져버리고 말 것이다”


                                                 다산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아들에게 보낸
                                                 편지 속의 이 말을 하루에 한 번씩 되새김
                                                 하면 다산 초당의 청정한 바람 소리도
                                                 가까이 들려오는 기쁨


                                                 기껏 좋은 일 선한 일 하고도 불필요한
                                                 말을 많이 하여 향기를 달아나게 하는
                                                 어리석은 사람이 바로 나라고 고백하는
                                                 사이 어디선가 들려오는 푸른 기침 소리


                                                     - 시집 <희망은 깨어있네> 중에서



~~~~~~~~~~~~~~~~~~~~~~~~~~~~~~~~~~~~~~~~~~~~~~~~~~~~~~~~~~~~~~




               요즘은 그냥 단순한 소풍보다는 특별한 장소를 정해 공부도 하고 자연도 즐기는 
               문화답사나 성지순례가 더 기억에 남고 뜻깊은 나들이가 되는 것 같습니다. 
               몇년 전 우리 수녀님들과 같이 강진에 있는 다산초당에 다녀온 후엔 유배지에서 
               수많은 글을 남긴 정약용에게 더욱 관심을 갖고 그의 저서들을 구해 읽었는데 
               특히 아들에게 보낸 편지글에서 저는 감동을 받았습니다.

 
               살면 살수록 수도생활에 가장 필요한 덕목은 겸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참된 겸손이란 자신이 어떤 선한 일을 하고도 요란하게 생색을 내거나 보답을
               받으려 하지 않고 성경에 나오는 착한 종과 같이 ‘그저 해야 할 일을 했을 따름

               입니다’(루카 17.7) 하는 담백한 태도일 것입니다.


               그런데도 살다보면 자신의 어떤 수고나 선행에 대해 누가 몰라주면 서운해하고
               그걸 마음속에만 담아두지 않고 이렇게 저렇게 미성숙한 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가까운 이들에겐 그 서운함을 지나치게 솔직하게 말하고 나서
               스스로 무안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벼운 농담일망정/ 나는 전번에 이리저리 도와주었는데/ 저들은 이렇게 하는

               구나! 하는 소리를 한마디라도/ 입 밖에 내뱉어서는 안 된다”


               다산이 아들에게 경고하는 이 말이 오늘 따라 깊이 가슴에 와 박힙니다. 지난날엔

               저도 종종 습관적으로 ‘내가 평소에 수녀님들에게 이렇게 저렇게 챙기는 것에

               비하면 나는 별로 챙김을 받지 못해 서운할 때가 있어요’라고 말을 했다면 요즘은

               설령 서운하더라도 침묵하는 연습을 조금씩 하다보니 평화가 찾아옵니다. 


               때로 동료들이 “수녀님은 매번 섬세하게 우릴 챙기는 데 반해서 우린 그렇지

               못해 죄송해요!”라고 말을 하면 얼른 “사람마다 사랑의 표현방식이 다르니까요.
               저는 사소한 거라도 드릴 게 있고 챙기는 게 취미니까 당연히 그리하는 것이고
               수녀님들은 그 대신 기도로 무형의 선물을 주시니 더 귀한 거지요”라고 표현을
               함으로써 서로의 관계를 편안하게 하고자 노력합니다.


               가정에서든 수도원에서든 상대에게 무엇을 바라고 하는 비교급의 말은 종종

               좋은 관계를 그르치는 걸림돌이 됩니다. 이번에 코로나19 사태로 TV에서 가장

               자주 만나게 된 질병관리본부장 정은경님이 막중한 업무로 인해 ‘잠은 자느냐?’

               는 질문을 받고 어떤 푸념이나 불평 섞인 부정적 답변보다는 ‘한 시간 이상은

               잔다’고 대답하는 걸 보고 외신들도 ‘숨은 영웅’으로 표현하며 감동했다지요.


               그 특별한 소임이 힘든 게 사실인데도 늘 차분한 음성으로 상황보고를 하는 그
               모습에서 ‘제가 해야 할 일을 마땅히 했을 뿐입니다’라고 고백하는 충직한 종의
               모습이 떠올라 저 역시 울컥한 순간이 있었습니다.


               우리 모두 한 발 뒤로 물러나 무심히 지나쳤던 일상의 소중함을 새롭게 발견하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좀 더 감사하며 겸손하게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면 이 또한 코로나19가 준 교훈적 선물이 아닐는지요.

  
               남이 잘한 것에 대해서는 ‘덕분입니다’ 하고 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제 탓

               입니다’ 하고 선한 일을 했을 때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을 따름이지요’ 하는

               그런 마음으로 다산 정약용의 말을 명심하고 실천하는 우리가 되면 좋겠습니다.

 


                                                  [이해인 수녀의 詩편지](32)다산의 말

                                                                    
http://blog.daum.net/kdm2141//6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