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시]이인원-취우(翠雨)**

2013. 10. 19. 11:03″``°☆시들의모음/◈가슴의― 詩

 
 

                     

                                     

                                  취우(翠雨)

                                                                        -이인원-
                                       빗방울 하나

                                       공중 삼 회전 반으로

                                       후박 나뭇잎에 가뿐하게 착지


                                       숨 한 번 돌릴 틈도 없이 다시

                                       풀밭으로 직방 뛰어내리는

                                       앙증맞은 고 발바닥


                                       온통 초록 물감 범벅이고

                                       빗방울, 방울들마다 제 발바닥

                                       잘박잘박 닦아내고 있는

                                       저 흥건한 풀잎 수건,


                                       살짝만 비틀어도

                                       초록 음표 주르륵 흘러내릴 것 같은

                                       조금만 더 세게 비틀면


                                       몇 생을 거쳐 밟고 지나왔던

                                       연두에서 초록까지의 來歷을

                                       조잘조잘 다 불어버릴 것 같은


                                 -이인원의 '취우'(시집 '궁금함의 정량')

 

 

     ...............................................................................................................

 

                                          
                   ▶이인원=1952년 경북 점촌에서 출생.
                      숙명여자대학교 졸업. 1992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시집으로 『마음에 살을 베이다』, 『사람아 사랑아』,
                     『빨간 것은 사과』 등이 있음. 2007년 현대시학 작품상 수상.


      나이 들면 누구나 없이 둔화되는 감성. 그러나 치열한 시작을 하고 있는 시인에게

      이 말은 예외이다. 사람이 나이를 먹어 가면서 청소년 시절의 감성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은 축복 받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위의 시에서 감성적 측면만 가지고

      말한다면 10대나 20대의 시로 보아도 무리는 아니리라.


      그런데 실제로 이 시를 쓴 시인은 60대의 초반에 있는 시인이다. '취우'란 푸른
      잎에 매달린 빗방울을 뜻한다. 시가 일단 '맛있는 시'의 반열에 들기 위해서는
      상식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야 한다. 그러기 위해 시인은 시적 의장으로 의인법을
      자주 활용하곤 한다. 빗방울과 풀잎을 의인화시켜 하나의 동화적 세계를 만들어 
      낸다면 얼마나 재미있는 동심의 세계가 펼쳐지겠는가.


      도마에서 독자적 자기 세계를 구축한 양학선과 같이 공중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공중 삼 회전 반으로 나뭇잎에 착지했다는 표현은 읽는 이로 하여금 깜짝 놀라게
      한다. "조금만 더 비틀면/(…)/조잘조잘 다 불어버릴 것 같은" 등의 시구는 우리를

      끝없는 동화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감칠맛 나는 표현들이 아닐 수 없다.
                                                    이해웅 시인
                                    busan.com-2013-10-18 [09:09:15]

 

 

http://blog.daum.net/kdm2141/3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