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있는 아침]김수영-거미**

2016. 4. 16. 10:42″``°☆아름다운詩/◈詩있는아침


  


 
Dolannes Melody (도란의 미소) -
Jean Claude Borelly



                                      거 미   -김수영-



                                       내가 으스러지게
                                       설움에 몸을 태우는 것은
                                       내가 바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 으스러진 설움의 풍경마저 싫어진다.


                                       나는 너무나 자주
                                       설움과 입을 맞추었기 때문에
                                       가을바람에 늙어가는 거미처럼 
                                       몸이 까맣게 타버렸다.




    --------------------------------------------------------------    
                                                

                                             
             ▶김수영=(1921~68)서울 종로에서 출생.
                1945년 《예술부락》에 시 <묘정(廟庭)의 노래>를 실으면서
                작품 활동 시작. 1946년 연희전문 영문과에 편입하였으나 중퇴.
                1959년 첫 시집 『달나라의 장난』 출간.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고,
                시와 시론, 시평 등을 잡지, 신문 등에 발표하며 왕성한 집필 활동을
                하였으나, 1968년 6월 15일 밤 교통사고로 사망. 사후
                시선집 『거대한 뿌리』(1974) , 『사랑의 변주곡』(1988) 과 
                산문집 『시여, 침을 뱉어라』 등과 1981년 『김수영전집』 간행됨.
                2001년 10월 20일 <금관 문화훈장> 추서받음.


   설움은 삶의 근원에 있는 비애를 감지할 때 생겨난다. 그것은 고통의 정서이지만 다른 한편

   으 로는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동반한다. 그 안에 유토피아 욕망이 있고, 유한자(有限者)로

   서의 인간에 대한 성찰이 있다. 


  김수영 시인은 그것과 “너무나 자주” “입을 맞추었기 때문에” “몸이 까맣게 타버렸다”고 고

  백한다. “바라는 것”이 있었으나, 그의 현실적 생애는 그것들을 구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 

  으스러진 설움”이 그의 시를 키웠다. 생계의 반대편에서 그는 구할 것을 구한 것이다.


                                       <오민석·시인·단국대 영문학과 교수>
                                               joins.com/2016.04.09
                                        




http://blog.daum.net/kdm2141/6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