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승의 사랑법
◆김주대◆
주대야
술 마이 먹찌 마라라 제발
몸도 안 조타 카민서
자아, 한잔 바다라

---------------------------------------------------------------

▶김주대=(1965~ ) 경북 상주 출생
1991년 ‘창작과비평’으로 등단
시집 ‘도화동 사십 계단’‘꽃이 너를 지운다’‘
나쁜, 사랑을 하다’‘그리움의 넓이’ 등
심산문학상, 성균문학상 수상
현대판 문인화로 요즘 이름을 날리고 있는 김주대의 시다. 이 시에서 김주대 시인과 대작
하고 있는 사람은 그의 스승, 강우식 시인이다. 텍스트에 드러나 있지 않으니 그가 누구든
상관없다. 사랑은 이렇게 좌충우돌이고 모순이어서 늘 문제를 일으킨다.
문제없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사랑은 위험을 껴안고 뒹군다. 아무도 그 미래를 모른다. 그
래서 더 해볼 만한 거다. 안전한 섬에서 ‘정주(定住)’를 꾀하는 자들은 정작 봐야 할 것을
보지 못한다.
창조는 규범(norm)을 깨뜨리는 데서 시작된다. 이 시는 문어(文語)의 문법을 해체하고 있
다. 그러다 보니 술 한잔 받는 일이 “바다”로 커진다. 세계는 놀랍게도 항상 언어로 재구성
된다. 거짓말 같지만, 상징계 안에서 물(物) 자체는 없다. 김주대 시집 『사랑을 기억하는
방식』 수록.
<오민석 시인·단국대 교수>
joins.com/201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