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시]조정권-빗소리**

2013. 11. 16. 07:07″``°☆시들의모음/◈가슴의― 詩

 

                      

 

                          

              빗소리
                                                                            -조정권-

 

                                      밤잠 없는 손님처럼
                                      수수밭에서 가는 실 말리는 바람소리
                                      수수 잎에 민박하면 좋겠네.


                                      수수밭 밟고 지나가는 몇 가닥 빗소리
                                      수수껍데기 밟고 가는 바람소리
                                      내 안으로 들이치면 좋겠네.


                                      무한대허로 내 귀때기 끌고 가
                                      가느다란 실에 매달아놓은 밤비소리
                                      창문틀 떨어져나간 두보杜甫네 집


                                      잠 달아난 베개 들고
                                      내 들창가로 찾아오면 좋겠네.
                                      내 안으로 들이치면 좋겠네.


                                    -조정권 '빗소리'('시안' 봄호·2010)-

 

 

        ---------------------------------------------------------

 

             ▶조정권=1949년 서울에서 출생.

                중앙대 영어교육과를 졸업. 1970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시집으로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 『시편』,

               『허심송』, 『하늘이불』, 『산정묘지』, 『신성한 숲』 등이 있음.

                녹원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

 

   시인이 한 편의 시를 쓰기 위해 시적 발상이 촉발되는 스펙트럼은 실로 다양하다.
   이 시에서는 우선 밤비 소리가 시상을 이끌어 내는 촉매제로 쓰이고 있다. 바람은
   시인이 고의로 비의 수직적 하강을 비틀어 활동성을 강화한다. 그런데 바람은 원래
   방랑자로서 가다가 아무 데서나 민박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에서 바람은 주역이
   아니라 비를 떠받쳐 주는 보조역에 불과하다. 바람은 불어서 수직으로 내리는 비를
   흩날리게 하고 시인 곧 화자가 있는 곳으로 들이치게 한다. 그럼 화자인 시인은
   현재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인가?


   고운 최치원의 '秋夜雨中(추야우중)'이란 시에서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
   (창외삼경우 등전만리심)"이란 구절이 불현듯 떠오른다. "창밖은 삼경인데 비는 내리고,
   등불 앞에 앉은 마음은 만 리 밖을 달린다"로 대충 해석이 된다. 조 시인의 시에 나타난
   심경이 이와 비슷하지 않은가. 수수밭에 내리는 가을비 소리를 들으며 시인은 지금
   공허한 마음 달랠 길 없어 시성 두보라도 이 밤에 맞아들여 만단정회를 나누고 싶은
   심정이다.
                                                    이해웅 시인
                                          busan.com-2013-11-15

 

 

http://blog.daum.net/kdm2141/3867